# Who?

■ 인문정보학전공 석사과정 1차 윤종훈

 

 

# When?

■ 2022년 3월 ~ 2022년 6월

 

 

# Where?

■ 수원 전통시장

 

 

# What?

■ 수원 장시의 존재 및 변화 양상 - 수원시 팔달구 일대 '남문시장' 중심으로

 

페이퍼.pdf

 

 

# How?

■ 현지조사 이전 기초 문헌조사

<민속학과지역문화연구Ⅱ> 강의의 목표는 지역문화연구를 위한 구술조사 방법론과 기초 문헌조사에 대한 이해이다.

현지조사와 구술조사를 실행하기 전 조사 지역에 대한 역사와 변화 양상, 지리와 같은 기초 문헌 자료를 조사하는 방법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한다. 이대화 교수님의 말을 빌리자면 "당장 조사 지역에 아무 것도 없이 몸만 떨어져도, 어디의 누구를 찾아가 인터뷰를 시작해야 할지 알 수 있을 정도" 수준으로 지역에 대한 기초 조사를 사전에 진행해야 한다고.

 

이 기초 조사는 이후에 인터뷰를 진행해 구술 자료를 얻은 이후에도 문헌 자료와의 교차검증(cross check)을 하는 데 필수적으로 필요한 과정이다.

 

■ 과제 - 지역 개괄 조사

지역문화연구 논문의 서론 부분, 즉 연구목적 및 대상 설정과 선행연구 검토, 지역 개괄에 대한 내용을 완성하는 것이 최종  과제이다.

 

 

# Why?

이 기초 조사는 이후에 인터뷰를 진행해 구술 자료를 얻은 이후에도 문헌 자료와의 교차검증(cross check)을 하는 데 필수적으로 필요한 과정이다. 

실제 인류학 및 민속학 분야의 연구를 진행할 때, 현지조사 이전에 기초 문헌 조사에 많은 시간과 공을 들인다. 조사 지역과 대상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가 뒷받침된 상태로 준비가 되어야 문제의식과 조사대상이 확실해지기 때문이다.

 

논문 링크 : https://dh.aks.ac.kr/~dbswhdgns08/석사학위논문/다층_자료_기반_한국_힙합_형성기_시맨틱_아카이브_모델링.pdf

 

논문 데이터 깃허브 : https://github.com/JONGHOONYUN/korean_hiphop_semantic_archive

 

시맨틱위키 아카이브 : http://13.209.254.53/wiki/

 

# Who?

■ 지도교수 : 한국학중앙연구원 철학박사 김바로(인문정보학전공 조교수)

- 디지털인문학, 학제간연구, 디지털 기술과 인문학의 융합 전반

- 데이터베이스, 디지털도서관, 정보 및 지식생산

 

■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학석사 윤종훈(인문정보학)

 

- 디지털인문학, 데이터베이스, 디지털 아카이브

- 지역문화연구, 민속학, 구술사, 대중문화

 

 

# When?

■ 석사과정 수료 및 논문 작성 : 2022년 3월 ~ 2025년 2월

 

■ 데이터 수집 및 인터뷰 : 2024년 5월 ~ 2024년 6월

 

 

# Where?

■ 신촌-홍대 힙합 클럽 마스터플랜(MasterPlan)

지금은 클럽 Geek으로 남아있는, 2000년대 초 소위 '힙합의 성지'라고 불렸던 신촌의 클럽 마스터플랜은 당시 서울에서 유일하게 힙합 아티스트들이 공연할 수 있었던 장소였다. 이러한 상징성과 함께, 클럽 마스터플랜은 단순히 공연장이라는 역할 뿐만 아니라 씬(scene)의 커뮤니티라는 특수한 장소성을 획득하였다. 이 매개체를 통해 인물들의 다양한 네트워크가 형성되거나 갈등을 빚기도, 협업이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얼마 가지 않아 주류문화로의 편입, 인디문화의 정체성 유지와 같은 다양한 방향성의 충돌로 인해 클럽 마스터플랜(MasterPlan)은 문을 닫았고 현재 해당 장소는 클럽 Geek으로, 마스터플랜은 음반기획사(레이블)로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 What?

■ 한국 힙합 형성기 정보를 담고 있는 다층 자료 

- 음반 실물자료

- 경험 기반 구술자료

- 음반 데이터

 

 

# How?

■ 원천 자료 - 음반 정보 수집 및 데이터화

 

■ 원천 자료 - 구술자료 수집 및 데이터화

 

■ 온톨로지(Ontology) 설계

 

■ 시맨틱 데이터 구축

 

시맨틱 데이터 깃허브 저장소 : https://github.com/JONGHOONYUN/korean_hiphop_semantic_archive/tree/main/semantic_data

 

■ 시맨틱 미디어위키(Semantic MediaWiki) 디지털 아카이브 사례

 

시맨틱 미디어위키 아카이브 사례 : 13.209.254.53/wiki/index.php/

 

 

# Why?

■ 디지털 암흑기 - 소실 위험에 처한 비주류 문화예술

1990년대 말 ~ 2000년대 초는 한국의 힙합 문화가 유입되고 형성되기 시작한 문화적으로 매우 중요한 시기인 반면, 당시 매체 기술의 한계로 인해 많은 자료들이 디지털암흑기의 위험에 처해있다.

20여 년밖에 되지 않은 비교적 현대의 문화이지만 영상, 사진, 포스터 등과 같은 원천 자료들에 대한 체계적인 아카이빙이 부재한 상황이다. 

이러한 이유로 음반을 비롯한 실물 원천 자료, 당시 경험자들의 기억을 통한 구술자료를 통해 유의미한 정보를 추출하고 데이터화하여 디지털 환경에서 아카이브를 시도하고자 하였다.

 

■ 구술자료의 (기계가독형) 데이터화

구술자료와 같은 비정형(질적) 자료는 기계가독형 데이터와 거리가 멀어보이기 마련이다. 특히, 인문학 분야에 산재되어있는 대부분의 정보와 자료는 비정형 자료로 이루어져있다. 

문화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는 구술자료는 대표적인 비정형적인 질적 자료이기에, 이러한 질적 자료를 기계가독형 데이터로 전환하여 디지털 환경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부분을 고민하였다.

 

■ 참여형 디지털 아카이브 

디지털암흑기에 직면한 분야에서, 아카이빙은 한 명의 연구자가 진행하기에 많은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디지털 환경에 협업형(참여형) 아카이브를 구축하여 아카이빙 대상에 관한 정보와 자료를 지니고 있는 불특정 다수가 웹 환경에서 데이터 아카이빙에 참여할 수 있게 하여 디지털 아카이브의 확장을 꾀하고자 하였다.

 

'Portfolio > Educ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민속학과지역문화연구 Ⅱ  (0) 2025.05.08

# Who?

■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연구보조원 윤종훈

2022년 겨울 대학원 석사과정 재학중 참여하였다. 2022년 2학기에 수강했던 강의인 <전자문서와 하이퍼텍스트>에서 배운 인문정보의 XML 데이터화를 실무에서 적용할 수 있는 기회였다.

 

 

# When?

■ 2022년 12월 ~ 2023년 3월

 

 

# Where?

■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해당 프로젝트는 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에서 기획중이던 불교문화콘텐츠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 What?

■ 불교 관련 학술 정보의 데이터 전환

 

 

# How?

불교 전문가들이 제작한 plain text에서 정보를 추출하여 XML 포맷의 데이터로 전환하는 과업을 진행하였다.

Visual Studio를 통해 원천 자료에서 XML 틀에 맞게 기계가독형 데이터로 전환하였다.

 

 

# Why?

Visual Studio의 다양한 add-on을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배웠고, 원천 자료의 데이터 전환 실무가 어떤 프로세스로 진행되는지 직접 경험할 수 있었다.

# Who?

■ 윤종훈

채용 및 근무 당시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전공의 석사과정 4학기차를 수료한 직후.

<민속학과지역문화연구 Ⅱ> / <인문정보편찬연구 Ⅱ> 와 같은 대학원 수업과 고고학 전공이 업무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 When?

■ 2024년 1월 1일 ~ 2024년 9월 30일 (9개월 청년인턴 근무)

 

 

# Where?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사전편찬부 문화콘텐츠편찬실

한국학중앙연구원(舊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은 1978년에 개원하여 한국학 진흥 및 세계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 및 교육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그 중 한국학사전편찬부는 문화콘텐츠편찬실과 백과사전편찬실로 크게 분리되어 있는데, 문화콘텐츠편찬실은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편찬 및 운영을 담당하고, 백과사전편찬실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 및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 What?

■ 정보화 담당 청년인턴

한국학사전편찬부 문화콘텐츠편찬실의 정보화 업무를 정보화 담당 책임연구원 멘토와 함께 수행하였다.

수행 업무로는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데이터 수정 및 증보 업무, SNS 홍보게시물 제작 및 업로드, 구 매체 자료 백업을 수행하였다.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은 2003년 「디지털성남문화대전」을 시작으로 대한민국의 116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지역문화 백과사전을 구축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각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정보들을 지리 / 역사 / 문화유산 / 성씨·인물 / 정치·경제·사회 / 종교 / 문화·교육 / 생활·민속 / 구비 전승·언어·문학 으로 분류하여 XML 포맷과 멀티미디어 자료를 기반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 How?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수정 지침에 따른 데이터 수정 및 증보

과거에 구축된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콘텐츠 데이터는 시간이 지나면서 문화유산 등록 현황이 변경되거나 소재지가 변경되는 등 업데이트해야하는 정보가 많아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변경된 작성 지침에 따라 기존의 지역 정보들을 수정 및 증보하는 업무를 수행하였다.

 

■ 구 매체 자료 백업

2003년부터 시작된 사업인만큼, 과거 시점에는 CD-ROM 및 DVD 매체를 통해 영상 및 사진 자료를 저장해왔다.

현재 시점에서 구축되는 지역 향토문화전자대전의 멀티미디어 자료는 클라우드 및 네트워크 드라이브 매체로 저장되기 때문에, 과거 매체에 저장되어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현재 사용중인 네트워크 드라이브에 백업하는 업무를 수행하였다.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SNS 홍보게시물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활용 방안과 유입을 홍보하기 위해서,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에 축적된 지역 데이터를 탐색하고 엮어내 스토리텔링하는 게시물을 매 주 제작하여 업로드하였다. 

 

 

# Why?

■ 데이터 암흑기에 직면한 구 매체 데이터의 소실 위험성

 

■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현재진행형'의 지역 문화

 

■ 데이터 아카이브 구축 이후의 데이터 활용 방안에 대한 고민

# Who?

  • 김바로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조교수. 중국 베이징 대학교 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민족사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안 될 것을 알면서도 행하려고 하는 사람(知其不可而爲之者)”을 가슴에 새기고, 디지털 기술과 인문학의 융합 개념인 ‘디지털인문학’을 끈덕지게 추구하고 있다.
  • 전가람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 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전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중국고대시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22년도에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과 박사과정에 입학하여 '디지털인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화두를 붙들고 살고 있다.
  • 이효림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연구보조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석사과정 수료. 데이터 설계, 구축, 분석, 해석 및 시각화 등 디지털인문학 전반에 관심이 많다.
  • 지해인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인문정보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동 대학원 인문정보학 박사 과정에 진학해 공부하고 강의하는 삶을 살고 있다.
  • 이주희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연구보조원.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언어학와 디지털인문한국학을 복수전공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에 입학해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 구현회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 연구소 연구보조원. 2022년 한국학대학원에 입학하여 인문정보학 석사 과정을 진행중이다. 디지털인문학 공부를 웃으며 해 나가고 있다.
  • 윤종훈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연구보조원이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전공 석사과정생.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문화유적학과(융합고고학과)를 전공하고 졸업했다. '내가 재미있는 일과 공부를 하자' 라는 마인드로 재미있는 것을 찾아 2022년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과 석사과정에 입학하여 2025년에 졸업하였다.

 

 

# When?

본 프로젝트는 2023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육연계과제의 지원을 받아 2023년 3월부터 2023년 8월까지 진행되었다.

 

# Where?

 

# What?

■ 한국학 데이터

한국학과 관련한 실습용 데이터를 통해 실습하여 디지털인문학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터 수집-정제-구축-분석-해석 과정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다룬다.

 

연구 대상이 되는 한국학 데이터는 한국학에 관한 모든 것들이 될 수 있다. 국내 뉴스 빅데이터, 국내 철도역의 여행 빈도, 국문학 텍스트 등이 해당된다.

 

# How?

■ 데이터 전처리 - 정규표현식

https://wikidocs.net/192728

 

■ 데이터 분석 환경 구축

https://wikidocs.net/192337

 

■ 텍스트 데이터 형태소 분석

https://wikidocs.net/192730

 

■ 딥러닝 분석 - word2vec / BERT

https://wikidocs.net/173033 / https://wikidocs.net/192340

 

■ 사회네트워크 분석 - Gephi

https://wikidocs.net/192465 / https://wikidocs.net/192466

 

■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통한 인문학적 해석

https://wikidocs.net/192731

 

 

# Why?

■ 디지털인문학 입문을 위한 교육 콘텐츠

 

■ 인문학 전공자들에게 생소한 컴퓨터 과학 분야 기술

 

■ 디지털인문학의 궁극적 목표 = 컴퓨터 과학 기술의 도움을 받아 연구자가 '해석하기'

# Who?

본 프로젝트와 교육 콘텐츠 저작물은 2022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육연계과제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었습니다.

(AKSR2022-RE08 강릉 12향현(江陵 十二鄕賢) 멀티미디어콘텐츠 편찬 및 교육 동영상 제작)

  • 김바로(연구책임자)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조교수. 중국 베이징 대학교 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민족사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안 될 것을 알면서도 행하려고 하는 사람(知其不可而爲之者)”을 가슴에 새기고, 디지털 기술과 인문학의 융합 개념인 ‘디지털인문학’을 끈덕지게 추구하고 있다.
  • 전가람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 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전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중국고대시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22년도에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과 박사과정에 입학하여 '디지털인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화두를 붙들고 살고 있다. 본  프로젝트에서 디지털인문학 콘텐츠 사례, 시맨틱 네트워크 그래프 파트를 담당하였다.
  • 지해인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인문정보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동 대학원 인문정보학 박사 과정에 진학해 공부하고 강의하는 삶을 살고 있다. 본 프로젝트에서 디지털인문학 콘텐츠 사례, 서버 환경 구축, 미디어위키 환경 구축 파트를 담당하였다.
  • 이주희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연구보조원.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언어학와 디지털인문한국학을 복수전공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에 입학해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본 프로젝트에서 파노라마와 전자지도 파트를 담당하였다.
  • 한태빈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한국사학전공 박사과정. 일명 세도정치기(勢道政治期)의 인사(人事) 제도 및 관행상을 분석하여 실질적 역사상이 당대인들의 피상적 견해와 어떤 차별점을 지니고 있는지 확인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경주하고 있다. 이런 선행 작업을 통해서 조선 망국의 원인이 정치 제도와 지성의 간극에 있다는 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시맨틱 네트워크 그래프 파트를 담당하였다.
  • 박선희 :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통의상학과 박사수료. 외래강사.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과의 수업을 들으며 전통의상학 기반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 구축을 목표로 학위논문을 쓰고 있다. 드론 조작법 설명 파트에 참여하였다.
  • 윤종훈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연구보조원이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전공 석사과정생.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문화유적학과(융합고고학과)를 전공하고 졸업했다. '내가 재미있는 일과 공부를 하자' 라는 마인드로 재미있는 것을 찾아 2022년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과 석사과정에 입학하여 2025년 2월에 졸업하였다. 본 프로젝트에서 항공(드론) 촬영, 시맨틱 웹과 온톨로지, 디지털 파빌리온 파트를 담당하였다. 

 

# When?

<강릉 12향현(江陵 十二鄕賢) 멀티미디어 콘텐츠 편찬 및 교육 동영상 제작> 프로젝트는 2022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육연계과제의 지원으로, 2022년 9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진행하였다.

 

 

# Where?

■ 강릉 향현사(江陵 鄕賢祠)

강릉 향현사(江陵 鄕賢祠)는 강원도 강릉시 교동에 위치한 사당이다. 강릉 12향현, 즉 조선시대 성리학적 이념과 유교 문화를 실천하며 강릉 지역을 빛낸 열두 명의 학자를 모신 사당이다. 1644년(인조 23)에 발의되어 조정의 허락을 받아 1645년에 강릉읍치 동쪽에 사당을 건립하였다.

현재 강릉역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강릉 향교와 강릉 명륜고등학교와 매우 가까이 인접해있다. 향현사와 강릉향교에서는 매년 음력 9월 중정일(中丁日, 11일~20일)에 제향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 강릉향교(江陵鄕校)

강릉향교(江陵鄕校)는 강릉시 교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 즉 국립 지방 교육 기관이다. 1411년(태종 11)에 불타버린 것은 1413년 이맹상과 유지 68명이 함께 발의하여 중건하였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중수하여 지금에 이른다. 

1919년에는 수선 강습소, 1928년 강릉농업공립학교를 시작으로 강릉공립상업학교, 강릉공립여학교, 옥천 국민학교, 바로 옆에 위치한 명륜 중·고등학교와 같은 다양한 교육기관 및 학교들이 강릉향교의 명륜당에서 개교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 강릉 삼현비각(三賢碑閣)

강릉 삼현비각은 강릉 12향현 중  최치운(崔致雲) · 최응현(崔應賢) · 최수성(崔壽城)의 신도비가 있는 비각으로, 강원도 강릉시 대전동에 위치하고 있다.

강릉최씨 종중에서는 세 인물을 최씨삼현이라고 칭송할 정도로 강릉 지역과 강릉의 유교문화에서 존경받고 있다. 이에 삼현의 신도비를 함께 보관하고 있는 비각을 1957년에 건립한 것이다.

 

■ 강릉 임경당(臨鏡堂)

강릉 임경당은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에 있는 별당으로, 조선전기 선비인 김광헌(金光軒) 과 그의 아들 김열(金說) 부자의 덕을 기리기 위하여 후손들이 세운 건물이다. 이중 김열(金說)은 강릉 12향현 중 한 명으로도 추향될 정도로 강릉 지역과 유교문화에 있어서 존경을 받고 있는 인물이다. 

1974년 강원도 유형문화재(現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 What?

■ 강릉의 유교문화

강릉 향현사에는 조선시대 성리학적 이념과 유교 문화를 실천하며 후세에 모범이 되고 강릉 지역을 빛낸 12향현이 배향되어있다.

강릉 12향현으로  최치운(崔致雲) · 최응현(崔應賢) · 박수량(朴遂良) · 박공달(朴公達) · 최수성(崔壽城) · 최운우(崔雲遇) · 이성무(李成茂) · 김윤신(金潤身) · 박억추(朴億秋) · 김열(金說) · 김담(金譚)을 추향하고 있다.

매년 매년 음력 9월 중정일(中丁日, 11일~20일)에 제향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강릉향교, 삼현비각, 임경당 등 강릉의 12향현과 관련되어있는 유적·유물이 강릉 지역 전체에 고루 분포하고 있기에 이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데이터화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강릉의 유교문화를 스토리텔링하고자 하였다.

 

■ 시각적 인문학(Visual Humanities) 교육 콘텐츠

강릉 12향현과 유교문화 정보를 탐색·수집하고 데이터화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함으로써 디지털 환경에서 시각적 인문학(Visual Humanities)를 담아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디지털 환경에서의 인문학을 연구하고 있는 인문학도를 위해 프로젝트에서 시도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및 시각화 방법론을 공유하기 위해 전자교재와 영상을 비롯한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여 위키독스(Wikidocs)와 유튜브(Youtube) 플랫폼을 통해 공개하고자 하였다. 

 

 

# How?

■ 멀티미디어 콘텐츠

강릉 지역의 유교 문화를 스토리텔링하기 위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및 시각화 기술 방법론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을 시도하였다.

  • 미디어위키(MediaWiki) : 디지털 환경에서의 아카이브 콘텐츠 구축 및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주는 콘텐츠 플랫폼이자 협업 플랫폼 역할을 할 수 있다. -> 위키 아카이브 링크
  • 파노라마(Panorama) : 360도 카메라(LICO THETA / INSTA360) 또는 PTgui를 활용한 파노라마 제작. 평면 이미지에 비해서 장소감을 전달함과 동시에 파빌리온의 기초 이미지로 활용된다.

향현사 파노라마 이미지

 

  • 항공(드론) 촬영 : 드론을 활용한 항공 촬영과 항공 시점에서의 파노라마를 통해 장소감을 전달할 수 있다.  이 역시 디지털 파빌리온의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향현사 전경 항공 파노라마

    • 전자지도&타임라인
  • 시맨틱 네트워크 그래프 : 시맨틱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객체간의 관계 정보를 연결한 시각화 네트워크를 보여낼 수 있다.

강릉 12향현 시맨틱 네트워크 그래프 예시

  • 디지털 파빌리온(Pavilion) : 파빌리온은 사진, 동영상, 파노라마, 음향, 텍스트 등의 다양한 데이터가 엮여져 장소감과 스토리텔링을 만들어내는 디지털 콘텐츠를 의미한다. -> 강릉향교와 향현사의 파빌리온

향현사 디지털 파빌리온

 

 

강릉 12향현(江陵 十二鄕賢) 멀티미디어콘텐츠 편찬 및 교육 동영상 제작 - DH 교육용 위키

이 디지털 아카이브는 2022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육연계과제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AKSR2022-RE08 강릉 12향현(江陵 十二鄕賢) 멀티미디어콘텐츠 편찬 및 교육 동영상 제작) 1. 디지털 파

dh.aks.ac.kr

 

■ 시각적 인문학(Visual Humanities) 교육 콘텐츠

 

위에서 시도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술을 인문학도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 콘텐츠를 함께 제작하였다.

위키독스(Wikidocs)라는 오픈소스 출판 플랫폼과 유튜브(Youtube) 채널을 통해 교재와 교육 영상을 공개하고 있다.

 

위키독스 교재 링크(Wikidocs) : https://wikidocs.net/book/8450

 

시각적 인문학(Visual Humanities) - 디지털인문학 시리즈

이 책은 인문학과 정보공학의 융합 학문인 디지털인문학의 방법론에 대해서, 인문학 전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편찬됐다. 이 책에서는 디지털인문학 방법론 …

wikidocs.net

구글 드라이브 교안 링크 : 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d/1y5g_iAoegLtlAM2aQb3NVvdPiTHyewPSJSwtHr1C6Oc/edit?slide=id.g1f04f6b8336_0_53#slide=id.g1f04f6b8336_0_53

 

유튜브 채널 교육 영상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o-uBrfSdnJs&t=1s

위키독스(Wikidocs) 교재

 

 

유튜브 채널 교육 영

 

# Why?

■ 지역 스토리텔링 디지털 콘텐츠의 제작 방법

 

■ 디지털 기술과 인문학의 융합

 

■ 디지털인문학을 위한 교육 콘텐츠

 

 

# Who?

■ PCN 컨소시엄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소장 김현)는 한양도성과 관련한 인물, 장소, 사건, 의복, 음식, 유물, 참고문헌 등 다양한 정보를 의미적으로 연결한 시맨틱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디지털인문학연구소와 프로젝트에 속해있는 사학, 민속학, 전통미술, 문학, 고고학 등의 다양한 전공자들이 산재되어있는 정보를 데이터화하고 연결하여 시맨틱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 연구보조원 윤종훈

2020년~2022년까지의 3개년 프로젝트에서 2022년에 참여하였다. 다른 한 명의 팀원과 함께 건축물 분류(Architecture Class)에 대한 시맨틱 데이터를 구축, 3D모델링 시각화 배치, 현장 답사 및 촬영 업무를 담당하였다.

 

# When?

전체 <한양도성 프로젝트>는 2020년 2022년의 3개년 프로젝트였으며, 필자가 참여한 2022년 프로젝트는 2022년 7월~2022년 12월까지 진행하였다.

  • 2022. 07. 06. Kickoff meeting
  • 2022. 07. 27. 창덕궁 - 후원 전체 답사
  • 2022. 07. ~ 2022. 12. 시맨틱 데이터 구축 작업
  • 2022. 09. 28. ~ 2022.11.14. 창덕궁, 후원, 경복궁, 성균관문묘, 동관왕묘, 종묘 촬영

 

# Where?

2022년 프로젝트의 사업 권역은 창덕궁 - 후원, 창경궁, 성균관문묘, 동관왕묘, 종묘, 경복궁 후원이다.

  • 창덕궁 - 후원 
  • 창경궁
  • 성균관 문묘
  • 동관왕묘
  • 종묘
  • 경복궁 후원
  • 흥인지문
  • 숙정문

 

# What?

 

■ 한양도성 타임머신이란?

<한양도성 타임머신> 프로젝트는 대한민국 정부가 추진하는 콘텐츠산업 3대 혁신전략 과제의 일환으로 문화유산청(舊 문화재청)에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수행한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 사업이다.

 

“한양도성 600년 문화유산을 3D 데이터로 만들고, 그 데이터를 민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형 플랫폼으로 구축하여, 이동통신사•포털•게임사 등이 다양한 가상현실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각주:1] [각주:2]

 

# How?

 

 온톨로지(ontology) 설계 기반 시맨틱 데이터(semantic data) 구축

온톨로지(ontology)란 컴퓨터 과학, 철학 등 다양한 필드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특정 대상에 대한 개념과 세계관을 표현한 모델이다. 객체와 객체들과의 관계 파악을 통해서 대상의 본질과 의미 체계를 풍부히 하고자 하는 것이며, 컴퓨터 과학에서는 이러한 관계 정보를 기계(컴퓨터)가 이해(읽기, 쓰기,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델을 온톨로지라고 한다. 

컴퓨터 과학과 인문학이 결합된 '디지털인문학' 분야에서는 인문 정보 및 지식이 데이터의 형태로 컴퓨터에서 더 풍부한 연구와 저작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온톨로지 모델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클래스(Class), 속성(attribute), 관계(relation)라는 구성 요소를 통해 대상에 대한 개념을 표현하는 온톨로지 모델을 기반으로, RDF 형식의 시맨틱 데이터(semantic data)를 구축한다. <한양도성 프로젝트>에서는 EKC(Encyves of Korean Culture) 온톨로지 모델[각주:3]이 활용되었으며, EKC 모델을 기반으로 한양도성의 다양한 자원들의 정보를 시맨틱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Ontology:EKC 2022:Class(출처:dh.aks.ac.kr/hanyang2/wiki/index.php/Ontology:EKC_2022:Class)

 

Ontology:EKC 2022:Relation (출처:dh.aks.ac.kr/hanyang2/wiki/index.php/Ontology:EKC_2022:Relation)

 

3D 모델링

 

<한양도성 프로젝트>의 아카이빙 대상 중 건축물, 복식, 물품, 음식 클래스의 객체는 시맨틱 데이터뿐만 아니라 3D 모델링 작업도 함께 진행되었다. 메타데이터 제공뿐 아니라 3D 모델을 활용한 시각적인 멀티미디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통해 메타버스 기술의 활용을 꾀하고 데이터 이용자들에게 실체감과 공간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주)PCN에서 제작한 건축물 3D 모델링을 3D 지리정보 소프트웨어인 세슘(Cesium)을 활용해 3D 지도에 건축물을 배치시키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배치 과정에서 참고문헌 자료(Bibilography), 웹 자원(Web Resource)을 참고하고 검토하여 좌표에 대한 고증 과정을 동반하였다.

창덕궁 인정전 3D 모델(출처:dh.aks.ac.kr/~hanyang2/cgi-bin/3dm/ModelView2.py?url=dh.aks.ac.kr/hanyang2/glb/2022/건물/3D-창덕궁_인정전.glb)

 

 

 현장 답사 및 촬영

3D 모델링과 다른 별도의 현장 촬영을 진행하였다. 3D 모델 아카이브와는 다른 사진첩 아카이브 위키 제작을 위해 허호 사진작가님과 동행하여 창덕궁, 창경궁, 경복궁, 문묘, 종묘, 동관왕묘 답사를 통해 사진 및 드론 촬영을 진행하였다. 전각 내부, 드론 전경과 같은 새로운 시야에서 촬영을 진행하며 아카이브와 데이터 이용자들에게 생생한 공간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창덕궁 인정전 일원 전경

 

# Why?

 

 지식 관계망

객체-관계 정보에 기반한 온톨로지와 시맨틱 데이터는 디지털 환경에서 보다 더 활용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고 처리할 수 있는 시맨틱 데이터는 관계 정보를 내포하고 있어 컴퓨터가 데이터의 의미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디지털 환경과 소프트웨어에서 분석, 시각화, 콘텐츠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시맨틱 네트워크 그래프'는 시맨틱 데이터를 시각화한 네트워크 형태의 그래프로, 특정 대상의 정보를 관계의 연결고리로 연결한 '지식 관계망'으로 보여낼 수 있다. 

 

시맨틱 데이터 기반 지식 관계망을 통해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관계를 발견하고 해석을 시도할 수 있는 확장성을 제공하며, 대중들에게는 흥미로운 스토리텔링을 제공할 수도 있다. 

한양도성 지식 관계망 예시(출처:dh.aks.ac.kr/hanyang2/wiki/index.php/한양도성_지식_관계망.lst)
딜쿠샤와 테일러 가족 이야기(출처:dh.aks.ac.kr/hanyang2/wiki/index.php/S0-503)

 

 3D 지리정보 활용

 

지리 정보와 좌표에 대한 고증 과정을 통해  3D 모델링을 3D 지리정보 소프트웨어인 세슘(Cesium)을 활용해 3D 지도에 건축물을 배치시키는 과정은 아카이브 이용자들에게 장소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활용성을 낳는다. 

<한양도성 타임머신> 프로젝트의 3D 모델링과 지리정보는 메타버스와 같은 실감형 콘텐츠로도 활용될 수 있다.

 

https://dh.aks.ac.kr/~sandbox/cgi-bin/map/CesiumModel.py?db=hanyang2023&project=hanyang&key=창덕궁_인정전

 

 

위키(Wiki) 플랫폼 기반 아카이브

위키(Wiki) 플랫폼은 협업과 공동 저작에 유용한 플랫폼으로, 디지털인문학연구소의 모든 프로젝트 진행과 아카이브를 웹 환경에서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적재된 데이터를 보여주고, 각 객체의 정보를 하나의 콘텐츠 페이지로 제공할 수 있다.

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창덕궁_인정전

 

창덕궁 인정전 - hanyang2

Definition 조선시대 창덕궁의 정전이다. '어진정치'라는 뜻을 가진 인정전(仁政殿)은 창덕궁의 법전(法殿) 역할을 하는데, 왕의 즉위식을 비롯하여 결혼식, 세자책봉식 등과 같은 공식적인 국가 행

dh.aks.ac.kr

dh.aks.ac.kr/hanyang2/wiki/index.php/PhotoAlbum:창덕궁:인정전

이름 : 윤종훈(尹鐘熏)

생년월일 : 1997년 08월 21일

주소 :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Email : hoonjong0821@gmail.com

Github : github.com/JONGHOONYUN

SNS : @hoonjong_di_ame / @hoonjong_foodie

 

# Work experience

 

 

# Project

 

# Education

  • 22. 03.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문학사 졸업(융합고고학과)
  • 22. 03. ~ 22. 06. <인문정보데이터베이스>(한국학중앙연구원)
  • 22. 03. ~ 22. 06. <인문지식처리와통계>(한국학중앙연구원)
  • 22. 03. ~ 22. 06. <민속학과지역문화연구 Ⅱ>(한국학중앙연구원)
  • 22. 09. ~ 22. 12. <멀티미디어콘텐츠>(한국학중앙연구원)
  • 22. 09. ~ 22. 12. <인문정보편찬연구 Ⅱ>(한국학중앙연구원) 
  • 22. 09. ~ 22. 12. <전자문서와하이퍼텍스트>(한국학중앙연구원)
  • 22. 09. ~ 22. 12. <인문지식처리와프로그래밍>(한국학중앙연구원)
  • 25. 02.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학석사 졸업(인문정보학)                                                                                                                       석사학위논문 『다층 자료 기반 한국 힙합 형성기 시맨틱 아카이브 모델링』

 

# Skill

  • 워드프로세서 1급(2019. 02. 취득)
  • 한국사능력검정시험 1급(2020.09. 취득)
  • TOEIC 785(2024. 07. 취득)
  • SQL
  • AWS 
  • MediaWiki
  • Semantic MediaWiki
  • Gephi (Social Network Analysis)
  • Protégé (Ontology)
  • Semantic Data
  • XML
  • 초경량비행장치 조종자 - 무인동력비행장치 4종(무인멀티콥터) 교육 이수 (2022. 09. 18. 취득)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