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ho?
■ 윤종훈
채용 및 근무 당시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전공의 석사과정 4학기차를 수료한 직후.
<민속학과지역문화연구 Ⅱ> / <인문정보편찬연구 Ⅱ> 와 같은 대학원 수업과 고고학 전공이 업무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 When?
■ 2024년 1월 1일 ~ 2024년 9월 30일 (9개월 청년인턴 근무)
# Where?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사전편찬부 문화콘텐츠편찬실
한국학중앙연구원(舊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은 1978년에 개원하여 한국학 진흥 및 세계화를 위한 다양한 사업 및 교육 과정을 진행하고 있다.
그 중 한국학사전편찬부는 문화콘텐츠편찬실과 백과사전편찬실로 크게 분리되어 있는데, 문화콘텐츠편찬실은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편찬 및 운영을 담당하고, 백과사전편찬실은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편찬 및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 What?
■ 정보화 담당 청년인턴
한국학사전편찬부 문화콘텐츠편찬실의 정보화 업무를 정보화 담당 책임연구원 멘토와 함께 수행하였다.
수행 업무로는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데이터 수정 및 증보 업무, SNS 홍보게시물 제작 및 업로드, 구 매체 자료 백업을 수행하였다.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은 2003년 「디지털성남문화대전」을 시작으로 대한민국의 116개 시·군·구를 대상으로 지역문화 백과사전을 구축하여 서비스하고 있다.
각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정보들을 지리 / 역사 / 문화유산 / 성씨·인물 / 정치·경제·사회 / 종교 / 문화·교육 / 생활·민속 / 구비 전승·언어·문학 으로 분류하여 XML 포맷과 멀티미디어 자료를 기반으로 서비스하고 있다.
# How?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수정 지침에 따른 데이터 수정 및 증보
과거에 구축된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콘텐츠 데이터는 시간이 지나면서 문화유산 등록 현황이 변경되거나 소재지가 변경되는 등 업데이트해야하는 정보가 많아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변경된 작성 지침에 따라 기존의 지역 정보들을 수정 및 증보하는 업무를 수행하였다.
■ 구 매체 자료 백업
2003년부터 시작된 사업인만큼, 과거 시점에는 CD-ROM 및 DVD 매체를 통해 영상 및 사진 자료를 저장해왔다.
현재 시점에서 구축되는 지역 향토문화전자대전의 멀티미디어 자료는 클라우드 및 네트워크 드라이브 매체로 저장되기 때문에, 과거 매체에 저장되어있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현재 사용중인 네트워크 드라이브에 백업하는 업무를 수행하였다.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SNS 홍보게시물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활용 방안과 유입을 홍보하기 위해서,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에 축적된 지역 데이터를 탐색하고 엮어내 스토리텔링하는 게시물을 매 주 제작하여 업로드하였다.
# Why?
■ 데이터 암흑기에 직면한 구 매체 데이터의 소실 위험성
■ 시간의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현재진행형'의 지역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