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ho?
■ PCN 컨소시엄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소장 김현)는 한양도성과 관련한 인물, 장소, 사건, 의복, 음식, 유물, 참고문헌 등 다양한 정보를 의미적으로 연결한 시맨틱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디지털인문학연구소와 프로젝트에 속해있는 사학, 민속학, 전통미술, 문학, 고고학 등의 다양한 전공자들이 산재되어있는 정보를 데이터화하고 연결하여 시맨틱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 연구보조원 윤종훈
2020년~2022년까지의 3개년 프로젝트에서 2022년에 참여하였다. 다른 한 명의 팀원과 함께 건축물 분류(Architecture Class)에 대한 시맨틱 데이터를 구축, 3D모델링 시각화 배치, 현장 답사 및 촬영 업무를 담당하였다.
# When?
전체 <한양도성 프로젝트>는 2020년 2022년의 3개년 프로젝트였으며, 필자가 참여한 2022년 프로젝트는 2022년 7월~2022년 12월까지 진행하였다.
- 2022. 07. 06. Kickoff meeting
- 2022. 07. 27. 창덕궁 - 후원 전체 답사
- 2022. 07. ~ 2022. 12. 시맨틱 데이터 구축 작업
- 2022. 09. 28. ~ 2022.11.14. 창덕궁, 후원, 경복궁, 성균관문묘, 동관왕묘, 종묘 촬영
# Where?
2022년 프로젝트의 사업 권역은 창덕궁 - 후원, 창경궁, 성균관문묘, 동관왕묘, 종묘, 경복궁 후원이다.
- 창덕궁 - 후원
- 창경궁
- 성균관 문묘
- 동관왕묘
- 종묘
- 경복궁 후원
- 흥인지문
- 숙정문
# What?
■ 한양도성 타임머신이란?
<한양도성 타임머신> 프로젝트는 대한민국 정부가 추진하는 콘텐츠산업 3대 혁신전략 과제의 일환으로 문화유산청(舊 문화재청)에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수행한 문화유산 디지털 콘텐츠 개발 사업이다.
“한양도성 600년 문화유산을 3D 데이터로 만들고, 그 데이터를 민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형 플랫폼으로 구축하여, 이동통신사•포털•게임사 등이 다양한 가상현실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1 2
# How?
■ 온톨로지(ontology) 설계 기반 시맨틱 데이터(semantic data) 구축
온톨로지(ontology)란 컴퓨터 과학, 철학 등 다양한 필드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특정 대상에 대한 개념과 세계관을 표현한 모델이다. 객체와 객체들과의 관계 파악을 통해서 대상의 본질과 의미 체계를 풍부히 하고자 하는 것이며, 컴퓨터 과학에서는 이러한 관계 정보를 기계(컴퓨터)가 이해(읽기, 쓰기,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모델을 온톨로지라고 한다.
컴퓨터 과학과 인문학이 결합된 '디지털인문학' 분야에서는 인문 정보 및 지식이 데이터의 형태로 컴퓨터에서 더 풍부한 연구와 저작 활동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온톨로지 모델 기법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클래스(Class), 속성(attribute), 관계(relation)라는 구성 요소를 통해 대상에 대한 개념을 표현하는 온톨로지 모델을 기반으로, RDF 형식의 시맨틱 데이터(semantic data)를 구축한다. <한양도성 프로젝트>에서는 EKC(Encyves of Korean Culture) 온톨로지 모델이 활용되었으며, EKC 모델을 기반으로 한양도성의 다양한 자원들의 정보를 시맨틱 데이터를 구축하였다. 3
■ 3D 모델링
<한양도성 프로젝트>의 아카이빙 대상 중 건축물, 복식, 물품, 음식 클래스의 객체는 시맨틱 데이터뿐만 아니라 3D 모델링 작업도 함께 진행되었다. 메타데이터 제공뿐 아니라 3D 모델을 활용한 시각적인 멀티미디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며, 이를 통해 메타버스 기술의 활용을 꾀하고 데이터 이용자들에게 실체감과 공간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주)PCN에서 제작한 건축물 3D 모델링을 3D 지리정보 소프트웨어인 세슘(Cesium)을 활용해 3D 지도에 건축물을 배치시키는 과정을 진행하였다. 배치 과정에서 참고문헌 자료(Bibilography), 웹 자원(Web Resource)을 참고하고 검토하여 좌표에 대한 고증 과정을 동반하였다.
■ 현장 답사 및 촬영
3D 모델링과 다른 별도의 현장 촬영을 진행하였다. 3D 모델 아카이브와는 다른 사진첩 아카이브 위키 제작을 위해 허호 사진작가님과 동행하여 창덕궁, 창경궁, 경복궁, 문묘, 종묘, 동관왕묘 답사를 통해 사진 및 드론 촬영을 진행하였다. 전각 내부, 드론 전경과 같은 새로운 시야에서 촬영을 진행하며 아카이브와 데이터 이용자들에게 생생한 공간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 Why?
■ 지식 관계망
객체-관계 정보에 기반한 온톨로지와 시맨틱 데이터는 디지털 환경에서 보다 더 활용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고 처리할 수 있는 시맨틱 데이터는 관계 정보를 내포하고 있어 컴퓨터가 데이터의 의미에 대해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디지털 환경과 소프트웨어에서 분석, 시각화, 콘텐츠 등으로 활용될 수 있다.
'시맨틱 네트워크 그래프'는 시맨틱 데이터를 시각화한 네트워크 형태의 그래프로, 특정 대상의 정보를 관계의 연결고리로 연결한 '지식 관계망'으로 보여낼 수 있다.
시맨틱 데이터 기반 지식 관계망을 통해 연구자들에게 새로운 관계를 발견하고 해석을 시도할 수 있는 확장성을 제공하며, 대중들에게는 흥미로운 스토리텔링을 제공할 수도 있다.
■ 3D 지리정보 활용
지리 정보와 좌표에 대한 고증 과정을 통해 3D 모델링을 3D 지리정보 소프트웨어인 세슘(Cesium)을 활용해 3D 지도에 건축물을 배치시키는 과정은 아카이브 이용자들에게 장소감을 제공함과 동시에,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활용성을 낳는다.
<한양도성 타임머신> 프로젝트의 3D 모델링과 지리정보는 메타버스와 같은 실감형 콘텐츠로도 활용될 수 있다.
https://dh.aks.ac.kr/~sandbox/cgi-bin/map/CesiumModel.py?db=hanyang2023&project=hanyang&key=창덕궁_인정전
■ 위키(Wiki) 플랫폼 기반 아카이브
위키(Wiki) 플랫폼은 협업과 공동 저작에 유용한 플랫폼으로, 디지털인문학연구소의 모든 프로젝트 진행과 아카이브를 웹 환경에서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적재된 데이터를 보여주고, 각 객체의 정보를 하나의 콘텐츠 페이지로 제공할 수 있다.
dh.aks.ac.kr/hanyang2/wiki/index.php/창덕궁_인정전
창덕궁 인정전 - hanyang2
Definition 조선시대 창덕궁의 정전이다. '어진정치'라는 뜻을 가진 인정전(仁政殿)은 창덕궁의 법전(法殿) 역할을 하는데, 왕의 즉위식을 비롯하여 결혼식, 세자책봉식 등과 같은 공식적인 국가 행
dh.aks.ac.kr
'Portfolio >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문화콘텐츠 데이터 가공 및 입력(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전문인력 참여 (0) | 2025.05.08 |
---|---|
인문학도를 위한 데이터 분석 교육 콘텐츠 편찬 - 한국학 데이터를 중심으로(한국학중앙연구원) (0) | 2025.05.06 |
강릉 12향현(江陵 十二鄕賢) 멀티미디어 콘텐츠 편찬 및 교육 동영상 제작(한국학중앙연구원) (0) | 2025.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