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ho?
- 김바로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조교수. 중국 베이징 대학교 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민족사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안 될 것을 알면서도 행하려고 하는 사람(知其不可而爲之者)”을 가슴에 새기고, 디지털 기술과 인문학의 융합 개념인 ‘디지털인문학’을 끈덕지게 추구하고 있다.
- 전가람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 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전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중국고대시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22년도에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과 박사과정에 입학하여 '디지털인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화두를 붙들고 살고 있다.
- 이효림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연구보조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석사과정 수료. 데이터 설계, 구축, 분석, 해석 및 시각화 등 디지털인문학 전반에 관심이 많다.
- 지해인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인문정보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동 대학원 인문정보학 박사 과정에 진학해 공부하고 강의하는 삶을 살고 있다.
- 이주희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연구보조원.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언어학와 디지털인문한국학을 복수전공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에 입학해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 구현회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 연구소 연구보조원. 2022년 한국학대학원에 입학하여 인문정보학 석사 과정을 진행중이다. 디지털인문학 공부를 웃으며 해 나가고 있다.
- 윤종훈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연구보조원이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전공 석사과정생.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문화유적학과(융합고고학과)를 전공하고 졸업했다. '내가 재미있는 일과 공부를 하자' 라는 마인드로 재미있는 것을 찾아 2022년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과 석사과정에 입학하여 2025년에 졸업하였다.
# When?
본 프로젝트는 2023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육연계과제의 지원을 받아 2023년 3월부터 2023년 8월까지 진행되었다.
# Where?
■
# What?
■ 한국학 데이터
한국학과 관련한 실습용 데이터를 통해 실습하여 디지털인문학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터 수집-정제-구축-분석-해석 과정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다룬다.
연구 대상이 되는 한국학 데이터는 한국학에 관한 모든 것들이 될 수 있다. 국내 뉴스 빅데이터, 국내 철도역의 여행 빈도, 국문학 텍스트 등이 해당된다.
# How?
■ 데이터 전처리 - 정규표현식
■ 데이터 분석 환경 구축
■ 텍스트 데이터 형태소 분석
■ 딥러닝 분석 - word2vec / BERT
https://wikidocs.net/173033 / https://wikidocs.net/192340
■ 사회네트워크 분석 - Gephi
https://wikidocs.net/192465 / https://wikidocs.net/192466
■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통한 인문학적 해석
# Why?
■ 디지털인문학 입문을 위한 교육 콘텐츠
■ 인문학 전공자들에게 생소한 컴퓨터 과학 분야 기술
■ 디지털인문학의 궁극적 목표 = 컴퓨터 과학 기술의 도움을 받아 연구자가 '해석하기'
'Portfolio >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문화콘텐츠 데이터 가공 및 입력(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전문인력 참여 (0) | 2025.05.08 |
---|---|
강릉 12향현(江陵 十二鄕賢) 멀티미디어 콘텐츠 편찬 및 교육 동영상 제작(한국학중앙연구원) (0) | 2025.05.05 |
한양도성 타임머신 2022 빅데이터 편찬 연구(문화재청, (주)PCN) (0) | 2025.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