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ho?
본 프로젝트와 교육 콘텐츠 저작물은 2022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육연계과제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었습니다.
(AKSR2022-RE08 강릉 12향현(江陵 十二鄕賢) 멀티미디어콘텐츠 편찬 및 교육 동영상 제작)
- 김바로(연구책임자)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조교수. 중국 베이징 대학교 역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민족사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 전공으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안 될 것을 알면서도 행하려고 하는 사람(知其不可而爲之者)”을 가슴에 새기고, 디지털 기술과 인문학의 융합 개념인 ‘디지털인문학’을 끈덕지게 추구하고 있다.
- 전가람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 연구소 학술연구교수. 전북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중국고대시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22년도에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과 박사과정에 입학하여 '디지털인문학이란 무엇인가?'라는 화두를 붙들고 살고 있다. 본 프로젝트에서 디지털인문학 콘텐츠 사례, 시맨틱 네트워크 그래프 파트를 담당하였다.
- 지해인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서 인문정보학 전공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동 대학원 인문정보학 박사 과정에 진학해 공부하고 강의하는 삶을 살고 있다. 본 프로젝트에서 디지털인문학 콘텐츠 사례, 서버 환경 구축, 미디어위키 환경 구축 파트를 담당하였다.
- 이주희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연구보조원.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언어학와 디지털인문한국학을 복수전공하고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에 입학해 석사과정을 졸업했다. 본 프로젝트에서 파노라마와 전자지도 파트를 담당하였다.
- 한태빈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한국사학전공 박사과정. 일명 세도정치기(勢道政治期)의 인사(人事) 제도 및 관행상을 분석하여 실질적 역사상이 당대인들의 피상적 견해와 어떤 차별점을 지니고 있는지 확인하는 데 관심을 가지고 경주하고 있다. 이런 선행 작업을 통해서 조선 망국의 원인이 정치 제도와 지성의 간극에 있다는 점을 규명하고자 한다. 시맨틱 네트워크 그래프 파트를 담당하였다.
- 박선희 : 단국대학교 대학원 전통의상학과 박사수료. 외래강사.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과의 수업을 들으며 전통의상학 기반 시맨틱 데이터 아카이브 구축을 목표로 학위논문을 쓰고 있다. 드론 조작법 설명 파트에 참여하였다.
- 윤종훈 : 한국학중앙연구원 디지털인문학연구소 연구보조원이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전공 석사과정생. 한국전통문화대학교에서 문화유적학과(융합고고학과)를 전공하고 졸업했다. '내가 재미있는 일과 공부를 하자' 라는 마인드로 재미있는 것을 찾아 2022년에 한국학대학원 인문정보학과 석사과정에 입학하여 2025년 2월에 졸업하였다. 본 프로젝트에서 항공(드론) 촬영, 시맨틱 웹과 온톨로지, 디지털 파빌리온 파트를 담당하였다.
# When?
<강릉 12향현(江陵 十二鄕賢) 멀티미디어 콘텐츠 편찬 및 교육 동영상 제작> 프로젝트는 2022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육연계과제의 지원으로, 2022년 9월부터 2023년 2월까지 진행하였다.
# Where?
■ 강릉 향현사(江陵 鄕賢祠)
강릉 향현사(江陵 鄕賢祠)는 강원도 강릉시 교동에 위치한 사당이다. 강릉 12향현, 즉 조선시대 성리학적 이념과 유교 문화를 실천하며 강릉 지역을 빛낸 열두 명의 학자를 모신 사당이다. 1644년(인조 23)에 발의되어 조정의 허락을 받아 1645년에 강릉읍치 동쪽에 사당을 건립하였다.
현재 강릉역에서 멀지 않은 곳에 위치하고 있으며, 강릉 향교와 강릉 명륜고등학교와 매우 가까이 인접해있다. 향현사와 강릉향교에서는 매년 음력 9월 중정일(中丁日, 11일~20일)에 제향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 강릉향교(江陵鄕校)
강릉향교(江陵鄕校)는 강릉시 교동에 있는 조선시대의 향교, 즉 국립 지방 교육 기관이다. 1411년(태종 11)에 불타버린 것은 1413년 이맹상과 유지 68명이 함께 발의하여 중건하였으며, 이후 지속적으로 중수하여 지금에 이른다.
1919년에는 수선 강습소, 1928년 강릉농업공립학교를 시작으로 강릉공립상업학교, 강릉공립여학교, 옥천 국민학교, 바로 옆에 위치한 명륜 중·고등학교와 같은 다양한 교육기관 및 학교들이 강릉향교의 명륜당에서 개교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 강릉 삼현비각(三賢碑閣)
강릉 삼현비각은 강릉 12향현 중 최치운(崔致雲) · 최응현(崔應賢) · 최수성(崔壽城)의 신도비가 있는 비각으로, 강원도 강릉시 대전동에 위치하고 있다.
강릉최씨 종중에서는 세 인물을 최씨삼현이라고 칭송할 정도로 강릉 지역과 강릉의 유교문화에서 존경받고 있다. 이에 삼현의 신도비를 함께 보관하고 있는 비각을 1957년에 건립한 것이다.
■ 강릉 임경당(臨鏡堂)
강릉 임경당은 강원도 강릉시 성산면에 있는 별당으로, 조선전기 선비인 김광헌(金光軒) 과 그의 아들 김열(金說) 부자의 덕을 기리기 위하여 후손들이 세운 건물이다. 이중 김열(金說)은 강릉 12향현 중 한 명으로도 추향될 정도로 강릉 지역과 유교문화에 있어서 존경을 받고 있는 인물이다.
1974년 강원도 유형문화재(現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 What?
■ 강릉의 유교문화
강릉 향현사에는 조선시대 성리학적 이념과 유교 문화를 실천하며 후세에 모범이 되고 강릉 지역을 빛낸 12향현이 배향되어있다.
강릉 12향현으로 최치운(崔致雲) · 최응현(崔應賢) · 박수량(朴遂良) · 박공달(朴公達) · 최수성(崔壽城) · 최운우(崔雲遇) · 이성무(李成茂) · 김윤신(金潤身) · 박억추(朴億秋) · 김열(金說) · 김담(金譚)을 추향하고 있다.
매년 매년 음력 9월 중정일(中丁日, 11일~20일)에 제향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강릉향교, 삼현비각, 임경당 등 강릉의 12향현과 관련되어있는 유적·유물이 강릉 지역 전체에 고루 분포하고 있기에 이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데이터화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로 강릉의 유교문화를 스토리텔링하고자 하였다.
■ 시각적 인문학(Visual Humanities) 교육 콘텐츠
강릉 12향현과 유교문화 정보를 탐색·수집하고 데이터화하여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제작함으로써 디지털 환경에서 시각적 인문학(Visual Humanities)를 담아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디지털 환경에서의 인문학을 연구하고 있는 인문학도를 위해 프로젝트에서 시도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및 시각화 방법론을 공유하기 위해 전자교재와 영상을 비롯한 교육 콘텐츠를 제작하여 위키독스(Wikidocs)와 유튜브(Youtube) 플랫폼을 통해 공개하고자 하였다.
# How?
■ 멀티미디어 콘텐츠
강릉 지역의 유교 문화를 스토리텔링하기 위해, 다양한 멀티미디어 및 시각화 기술 방법론을 통해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을 시도하였다.
- 미디어위키(MediaWiki) : 디지털 환경에서의 아카이브 콘텐츠 구축 및 서비스를 가능하게 해주는 콘텐츠 플랫폼이자 협업 플랫폼 역할을 할 수 있다. -> 위키 아카이브 링크
- 파노라마(Panorama) : 360도 카메라(LICO THETA / INSTA360) 또는 PTgui를 활용한 파노라마 제작. 평면 이미지에 비해서 장소감을 전달함과 동시에 파빌리온의 기초 이미지로 활용된다.
- 항공(드론) 촬영 : 드론을 활용한 항공 촬영과 항공 시점에서의 파노라마를 통해 장소감을 전달할 수 있다. 이 역시 디지털 파빌리온의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 전자지도&타임라인
- 시맨틱 네트워크 그래프 : 시맨틱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객체간의 관계 정보를 연결한 시각화 네트워크를 보여낼 수 있다.
- 디지털 파빌리온(Pavilion) : 파빌리온은 사진, 동영상, 파노라마, 음향, 텍스트 등의 다양한 데이터가 엮여져 장소감과 스토리텔링을 만들어내는 디지털 콘텐츠를 의미한다. -> 강릉향교와 향현사의 파빌리온
강릉 12향현(江陵 十二鄕賢) 멀티미디어콘텐츠 편찬 및 교육 동영상 제작 - DH 교육용 위키
이 디지털 아카이브는 2022년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교육연계과제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AKSR2022-RE08 강릉 12향현(江陵 十二鄕賢) 멀티미디어콘텐츠 편찬 및 교육 동영상 제작) 1. 디지털 파
dh.aks.ac.kr
■ 시각적 인문학(Visual Humanities) 교육 콘텐츠
위에서 시도한 다양한 멀티미디어 기술을 인문학도들이 활용할 수 있도록 교육 콘텐츠를 함께 제작하였다.
위키독스(Wikidocs)라는 오픈소스 출판 플랫폼과 유튜브(Youtube) 채널을 통해 교재와 교육 영상을 공개하고 있다.
위키독스 교재 링크(Wikidocs) : https://wikidocs.net/book/8450
시각적 인문학(Visual Humanities) - 디지털인문학 시리즈
이 책은 인문학과 정보공학의 융합 학문인 디지털인문학의 방법론에 대해서, 인문학 전공자의 디지털 리터러시를 향상시키는 목적으로 편찬됐다. 이 책에서는 디지털인문학 방법론 …
wikidocs.net
구글 드라이브 교안 링크 : https://docs.google.com/presentation/d/1y5g_iAoegLtlAM2aQb3NVvdPiTHyewPSJSwtHr1C6Oc/edit?slide=id.g1f04f6b8336_0_53#slide=id.g1f04f6b8336_0_53
유튜브 채널 교육 영상 링크 : https://www.youtube.com/watch?v=o-uBrfSdnJs&t=1s
# Why?
■ 지역 스토리텔링 디지털 콘텐츠의 제작 방법
■ 디지털 기술과 인문학의 융합
■ 디지털인문학을 위한 교육 콘텐츠
'Portfolio >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교문화콘텐츠 데이터 가공 및 입력(동국대학교 불교학술원) 전문인력 참여 (0) | 2025.05.08 |
---|---|
인문학도를 위한 데이터 분석 교육 콘텐츠 편찬 - 한국학 데이터를 중심으로(한국학중앙연구원) (0) | 2025.05.06 |
한양도성 타임머신 2022 빅데이터 편찬 연구(문화재청, (주)PCN) (0) | 2025.04.29 |